[Scrap]Article

[스크랩] 리코더의 종류 [파트별]

Klara Song 2007. 7. 9. 16:08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K.Sn      Sn.       Soprano          Alto              Tenor                Bass             Great Bass           Contra Bass             Super Contra Bass 

 

왼쪽부터 클라이네 소프라니노, 소프라니노,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그레이트 베이스, 콘트라 베이스, 슈퍼 콘트라 베이스 리코더

리코더는 다양한 파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덕분에 짧은 음역이지만, 다양한 앙상블 음악을 가능하게 합니다. 작게는 2~4중주의 소규모 앙상블부터, 10중주 이상의 리코더 오케스트라를 위한 음악까지도 소화할 수 있는 것이 리코더의 큰 장점이기도 합니다. 리코더는 대부분 개량된 스타일을 제외하고는 그 음역이 2옥타브 + 1음의 음역대를 지니고 있지만, 예외적으로 클라이네 소프라니노 리코더는 C2~A3까지의 짧은 음역대를 갖고 있습니다.

 

[1] 클라이네 소프라니노 리코더 (Kleine Sopranino/Garklein) C

리코더의 가장 고음역대의 리코더로 선율적인 부분보다는 대편성 합주시의 장식적은 효과를 낼 때 주로 사용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2] 소프라니노 리코더 (Sopranino) F

주로 고음역대 휘황찬란한 기교나, 리코더 협주곡에 많이 등장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3] 소프라노 리코더 (Soprano/Descant) C

독주악기로뿐만 아니라 앙상블에서도 선율파트를 주로 담당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4] 알토 리코더 (Alto/Treble) F

알토리코더는 독주 레퍼토리로는 가장 많은 작품을 보유하고 있는 파트입니다.

앙상블에서는 중음역대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5] 테너 리코더 (Tenor) C

테너리코더는 가온다부터 시작하는 중음역대의 음역대를 갖고 있어서 사람의 목소리와 유사하다는

평을 많이 듣는 악기입니다. 주로 선율악기보다는 앙상블에 주로 사용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6] 베이스 리코더 (Bass) F

기본적인 4성부 앙상블의 경우 최저음을 맡는 리코더입니다.

간혹 현대작곡가들은 베이스를 위한 독주곡을 작곡해서 선율악기로 연주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7] 그레이트 베이스 리코더 (Great Bass) C

일반적인 소규모 앙상블보다는 큰 편성의 합주시 사용되는 저음부 리코더.

위의 사진은 개량된 스타일의 페졸트 그레이트 베이스 리코더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8] 콘트라 베이스 리코더 (Contra Bass/Sub Bass) F

그레이트 베이스 리코더와 마찬가지로 대편성의 합주시 사용되는 리코더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9] 슈퍼 콘트라 베이스 리코더 (Super Contra Bass/Sub Contra Bass) C

합주편성에서도 가장 규모가 큰 리코더 오케스트라에서 주로 사용되는 리코더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글 : 한국바로크악기 박광준 대리

 

출처 : 한국바로크악기
글쓴이 : 박광준 원글보기
메모 :